Views: 7
가래나무
가래나무 개요
가래나무는 가래나무과 가래라무속에 속한다. 추자수이라는 다른 이름을 가지고 있으며, 중국이 원산지인 낙엽활엽교목이다. 모양은 호두나무와 거의 비슷해서 일반인은 구분하기 힘들 정도이다. 대한민국 중부 이상 이북과 만주 지역의 산기슭에서 잘 자라는 나무이다. 우리나라에서는 무덤가에 가래나무를 많이 심었는데 그것이 부모에게 효도하는 것이라 생각했다고 한다.
- 이름 가래나무
- 개화 / 4-5월
- 형태 / 낙엽활엽교목
- 열매 / 9-10월
식물 분류 체계1
Magnoliophyta (피자식물문) > Magnoliopsida (목련강) > Hamamelidae (조록나무아강) > Juglandales (가래나무목) > Juglandaceae (가래나무과) > Juglans (가래나무속) > mandshurica (가래나무)

잎은 깃꼴겹입으로 7-28cm까지 자란다. 줄기와 열매 잎에 잔털이 많이 나와 있는 것이 특징이다. 가래라는 이름은 가래열매가 농기구의 가래를 닮아 그렇게 불렀다고 한다.
가래나무(Juglans mandshurica)는 호두나무과/가래나무과(Juglandaceae)에 속하는 낙엽성 활엽수로, 동아시아 지역의 온대 기후에서 자생하는 나무입니다. 한국의 강원도, 경기 북부, 그리고 중국, 일본 등지의 산지에서 주로 볼 수 있으며, 자생지에서는 높이 20~30m, 폭 10m 이상까지 자라는 대형 수목입니다. 수명이 길고 나무의 수형이 넓게 퍼지며 가지가 고르게 자라 큰 그늘을 만들어줍니다. 이러한 수형 덕분에 가래나무는 주택지의 경관수나 도시의 공원수로도 자주 식재됩니다.
가래나무의 잎은 여러장의 작은 잎이 모여 깃털 모양을 이루는 겹잎 형태로, 길이는 약 14cm에 이릅니다. 작은 잎 하나하나는 타원형이며 끝이 날카롭고 톱니 모양의 가장자리가 있습니다. 가을철에는 잎이 노란색으로 변해 아름다운 단풍을 자랑하여 가을철 경관에 매우 좋은 나무로 평가받습니다.
봄철에는 수꽃과 암꽃이 각각 다른 형태로 피어나는 단성화로서, 꽃이 피는 시기는 5월경입니다. 수꽃은 길게 늘어지는 꼬리 모양의 꽃차례(약 10cm)로 나뭇가지 아래쪽에 늘어져 피며, 녹색을 띄고 있어 독특한 모습을 연출합니다. 암꽃은 가지 끝에 뭉쳐 피며 크기는 작지만 다소 두툼하게 모여 있습니다. 이후 여름에서 가을에 걸쳐 열매를 맺는데, 이 열매를 ‘가래’라고 부르며 길이 35cm 정도의 타원형 모양입니다. 열매는 겉껍질이 두꺼워 단단하고, 속에 들어 있는 씨앗이 먹을 수 있습니다. 가래나무 열매는 맛이 떫고 독특한 향을 가지고 있어 직접 식용으로 사용되기보다는 약재나 기름을 짜는 용도로 사용됩니다.
가래나무는 내한성과 내건성이 매우 뛰어나며, 척박한 토양에서도 잘 자라는 특성을 가지고 있습니다. 햇볕이 잘 드는 곳을 선호하지만 어느 정도의 그늘에서도 생존할 수 있어 산림의 하층목으로도 생장할 수 있습니다. 그렇지만 햇볕이 풍부한 환경에서 가장 잘 자라며, 성장 속도 또한 빠른 편이어서 숲을 가꾸는 데 유용하게 쓰일 수 있습니다.
또한, 가래나무는 목재 자원으로서도 가치가 높습니다. 나무의 목재는 단단하고 내구성이 뛰어나며 내충성도 있어 가구, 건축재, 도구 손잡이 등으로 널리 사용됩니다. 가래나무 목재는 갈색에 가까운 짙은 색을 띠며 결이 아름답고, 표면을 잘 다듬으면 부드러우면서도 윤기가 나기 때문에 고급 가구나 인테리어 자재로도 인기가 높습니다. 일부 지역에서는 전통 도구를 만들 때도 사용됩니다.
이 외에도 가래나무는 조경수로 쓰이면서 다양한 생태적 역할을 수행합니다. 벌, 나비 등 곤충들에게 먹이와 서식처를 제공하며, 여름철 그늘을 만들어 주변 기온을 낮추는 효과도 있습니다.
- 분류체계는 [국립생물자원간 한반도의 생물다양성 가래나무]를 따른다. ↩︎
- 이미지출처 [위키백과 가래나무, 사진원작자 장 폴 GRANDMO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