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원도 원주시 행정구역

Views: 46

원주시 개요1

원주시(原州市)는 대한민국 강원특별자치도 서남부에 있는 시이다. 시청 소재지는 무실동이고, 행정구역은 1읍 8면 16동이 나타나고. 동쪽으로 영월군, 북쪽으로 횡성군, 서쪽으로 경기도 여주시, 양평군, 남쪽으로 충청북도 충주시, 제천시와 접해 있다.

강원특별자치도 내에서 교통의 요지 중 하나로, 영동고속도로, 중앙고속도로, 광주원주고속도로가 교차한다. 철도 교통으로는 중앙선과 경강선 KTX(원주~강릉)가 지나가고, 2027년에 경강선 일반철도(여주~원주)가 개통 예정이다. 영서 지방의 최대 도시이자, 강원특별자치도 최대의 도시이다. 강원특별자치도 내에서 가장 인구가 많다.

신라 시대에는 소경(小京)을 두었고, 고려시대에는 도호부, 조선시대에는 강원도 감영 소재지였다. 1938년에 원주군 원주면이 원주읍으로 바뀌고, 1955년에 원주시로 승격하였으며, 1995년 1월에 원주군과 원주시를 통합하여 도농복합시가 되었다. 면적은 867.3km2이고, 인구는 361,065명이 늘었었다. 혁신도시 사업에 따라 한국광물자원공사, 대한석탄공사, 한국관광공사, 국립공원공단, 도로교통공단, 국민건강보험공단, 건강보험심사평가원, 국립과학수사연구원 등 13여곳의 공공기관이 이전했다. 명소로는 치악산이 있다.

대한민국에서 유일하게 기업도시하고 혁신도시를 모두 보유하고 있으며, 지리적 여건으로 수도권하고 유동인구도 많다.

원주시의 역사

원주시의 역사는 다음과 같이 시대별로 구분할 수 있습니다.

1. 고대

원주 지역에는 수만 년 전부터 인류가 거주했던 것으로 추정되며, 신석기 시대와 청동기 시대의 유적이 발굴되었습니다. 삼한시대에는 마한에 속해 있었고, 백제의 근초고왕이 마한을 정복하면서 원주는 백제의 영토로 편입되었습니다. 그러나 고구려 장수왕의 남하 정책에 따라 469년에 고구려의 영토가 되며, 평원군(平原郡)이 설치되었습니다.

2. 신라 시대

신라 진흥왕은 한강 유역을 확보하면서 678년 문무왕 때 원주 지역에 북원소경(北原小京)을 설치하였습니다. 이는 신라의 9주 5소경 체제 중 하나로, 원주는 지방 행정과 군사적 중심지 역할을 하게 되었습니다. 이후 경덕왕 시기에 명칭이 북원경(北原京)으로 변경되었습니다.

3. 고려 시대

고려 태조 시기에 처음으로 ‘원주(原州)’라는 지명이 사용되었습니다. 이때부터 원주는 넓은 평야 지역이라는 뜻에서 ‘원주’로 불리기 시작했습니다. 고려 시대 동안 원주는 도호부(都護府)로 지정되어 군사적, 행정적 요충지로 성장하였습니다.

4. 조선 시대

조선 시대에는 강원도의 감영 소재지로서 중요한 역할을 했습니다. 당시 원주는 감영이 설치된 곳으로, 지방 행정과 군사적 중심지로 발전하였습니다. 1938년에는 원주군 본부면이 원주읍으로 승격되었고, 1955년에는 원주시로 승격되었습니다.

5. 현대

1995년에는 원주시와 원주군이 통합되며 도농복합시가 되었습니다. 2000년대 들어 혁신도시와 기업도시로 발전하면서, 국민건강보험공단과 한국관광공사 등 여러 공공기관이 이전해오며 원주시는 강원특별자치도에서 인구가 가장 많은 도시로 성장하게 되었습니다.

이처럼 원주는 고대부터 현대까지 계속해서 중요한 군사적, 행정적 역할을 해왔으며, 최근에는 교통과 산업의 중심지로 발전해 왔습니다.

원주시 행정구역

원주시의 행정구역은 1개의 읍, 8개의 면, 16개의 동으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1. 읍

  • 문막읍(文幕邑)

2. 면

  • 소초면(所草面)
  • 호저면(好楮面)
  • 지정면(地正面)
  • 부론면(富論面)
  • 귀래면(貴來面)
  • 흥업면(興業面)
  • 판부면(板富面)
  • 신림면(神林面)

3. 동

  • 중앙동(中央洞)
  • 원인동(園仁洞)
  • 개운동(開運洞)
  • 명륜1동(明倫1洞)
  • 명륜2동(明倫2洞)
  • 단구동(丹邱洞)
  • 일산동(一山洞)
  • 학성동(鶴城洞)
  • 단계동(丹溪洞)
  • 우산동(牛山洞)
  • 태장1동(台壯1洞)
  • 태장2동(台壯2洞)
  • 봉산동(鳳山洞)
  • 행구동(杏邱洞)
  • 무실동(茂實洞)
  • 반곡관설동(盤谷觀雪洞)

  1. 이 글의 출처, 위키백과 원주시에서 가져와 필요한 부분들을 수정했습니다. ↩︎

Leave a Com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