꽃의 개화 형태에 따른 분류 (화서)

Views: 668

화서란 무엇인가?

화서(花序) 또는 꽃차례(Inflorescence)는 꽃이 꽃대에 붙는 순서나 배열을 말한다. 꽃이 어떤 방식으로 피느냐를 배열이나 모양 등으로 구분하는 것을 말한다. 화서를 다른말로 ‘꽃차례’라고 말한다.

화서는 엄격하게 정해진 학문적 정의는 아니다. 학자들마다 편리한 대로 구분해 부르기 때문에 대략적인 것이만 이해하면 된다.

단정꽃차례 단생화를 말한다.  꽃대의 꼭대기에  단 한개의 꽃이 붙는 꽃차례      예)  튤립, 개양귀꽃. 목련. 모란꽃 등
  복꽃차례  ​[복화서] 홑꽃차례무한꽃차례[無限花序] 무한꽃차례[無限花序]총상꽃차례 [總狀花序]
 수상꽃차례 [穗狀花序]
 두상꽃차레 [頭狀花序]
 산방꽃차례 [繖房花序]
 산형꽃차례 [繖形花序]
 육수꽃차례 [肉穗花序]
 미상꽃차례  미상꽃차례 [尾狀花序],유이꽃차레 [葇荑花序]
 총수꽃차례 [總穗花序] 
 구심꽃차례 [求心花序] 
 유한꽃차례[有限花序] 유한꽃차례 [有限花序] 
 취산꽃차례[聚繖花序] 단출취산꽃차례 [單出聚繖花序] 권산꽃차례(卷繖花序), 선형꽃차례(扇形花序), 선상꽃차례(扇狀花序), 호산꽃차례
 이출취산꽃차례 이출취산꽃차례 [二出聚繖花序], 기산꽃차례 [岐繖花序]
 다출취산꽃차례 밀산꽃차례[密傘花序], 윤산꽃차례[輪繖花序], 은두꽃차례[隱頭花序]
 원심꽃차례 [遠心花序] 
겹꽃차레 [複合花序] 동형복합꽃차례 [同形複合花序] 복수상꽃차례 [複穗状花序]
 복총상꽃차례 복총상꽃차례[複總狀花序]원추꽃차례[圓錐花序]
 복산형꽃차례 [複繖型花序]
 인상꽃차례 [藺狀花序]
 복두상꽃차례 [複頭狀花序]
 이형복합꽃차례 [異形複合花序] 권산총상꽃차례 [卷繖総状花序]
 두상산방꽃차례 [頭狀繖房花序]
 취산산방꽃차례 취산산방꽃차례[聚繖繖房花序] 밀추꽃차례[密錐花序]
꽃의 화서1

화서의 구분

화서 또는 꽃차례는 크게 무한화서와 유한화서로 구분한다. 무한화서는 꽃이 꽃대의 아래쪽으로 위로 향하는 것을 말한다. 무한화서에는 수상화서, 총상화서, 산방화서, 산형화서, 두상화서 등이 있다. 반면에 유한화서는 꽃대의 위에서 아래방향으로 피는 것을 말한다. 단정화서, 호산화서, 기한화서, 다산화서, 권산화서 등이 있다. 두 가지 형태가 섞인 것을 복합꽃차례로 부른다. 복합꽃차례는 엄격하게 구분되었다기 보다 앞의 두 화서와 다른 화서가 함께 보여지는 형태로 구분하기가 약간 모호한 화서를 말한다.

무한화서

  • 수상화서 : 밀, 쇠무릎지기, 질경이
  • 총상화서 : 범꼬리, 짚신나물
  • 산방화서 : 총상화서의 한 유형, 유채, 냉이, 무
  • 산형화서 : 앵초, 청미래덩굴, 석산, 미나리
  • 두상화서 : 민들레, 센토레아, 서향, 엉겅퀴

유한 화서

  • 단정화서 : 튤립, 엘레지, 까치무릇, 양귀비
  • 호산화서
  • 기산화서 : 닭의 장풀
  • 다산화서 : 대극과
  • 관산화서 : 물망초 , 치자

복합화서

  • 수상화서가 이삭 모양으로 배열한 형태, 밀
  • 산형화서가 산 모양으로 배열한 형태, 미나리과
  • 수상화서가 총상으로 배열하는 수상총상화서, 사초속
  • 두상화서가 기산상으로 배열하는 두상기산화서, 민솜방망이

화서의 다른 형태

선상화관, fountain type

가느다란 가지 위에 꽃이 붙어 이삭 모양을 이루는 것

  • 개나리, 박태기, 명자, 매화, 조팝 나무 등이 있다.
박태기꽃
박태기꽃

반상형, blotched type

녹색의 배경 위에 꽃의 집단이 산재한 것

  • 장미, 무궁화, 수국, 라일락 등이 있다.

장미
장미꽃

복상, full type

꽃으로 완전히 뒤덮인 것

  • 개나리, 벗나무, 꽃사과, 모란, 철쭉

점상

하남의 큰 꽃이 점점이 되어 있는 것

  • 목련, 모란

관상형

  • 가지 끝에 꽃이 피고, 수관 전체가 꽃에 덮히는 것
  • 라일락, 이팝, 진달래, 배롱나무, 철쭉

라인 플라워

  • 줄기를 따라 이어서 꽃이 피는 형태

필러플라워

공간을 채워 주는 꽃

  • 공작초, 안개꽃, 소국, 프타티스, 프리지어

2. 전통적 화서 분류법

단정화서

큰 하나의 꽃

  • 장미, 튤립, 카네이션,

총상화서(raceme)

줄기를 따라 곁에서 꽃이 피어 올라가는 모습

  • 델피늄, 금어초, 스토크, 덴드로비움, 등나무, 아카시아,

개아카시아꽃

두상화서

꽃대 없이 줄기에서 여러 꽃이 피는 형태

  • 해바라기, 코스모스, 붉은 토끼풀, 국화, 엉겅퀴, 구절초

수상화서(spike)

무한화서[無限花序]의 일종, 한 줄기에서 올라가면서 꽃이 피는 형태, 방아나 아주가 등 꿀풀과에 많다.

  • 리아트리스, 프리지어, 글라디올러스, 질경이, 오이풀, 아주가(서양조개나물), 질경이꽃,
사양조개나물(아주가)

원추화서(panicle)

  • 플록스, 배롱나무, 노루오줌,

산형화서(umbel)

한 꽃대의 마지막에서 수많은 꽃들이 퍼져 나는 모습

  • 상사화, 산수유, 아가판서스, 알리움

산방화서(corymb)

  • 줄기를 올라가면 꽃대가 만들어지면 하나의 꽃처럼 보이는 개화 형태

복합상형화서(compound umbel)

취산화서(cymule)

  • 클레마티스, 분꽃, 클레마티스

소취산화서(cymule)

권산화서(drepanium)

두상화서(head)

육수화서(spadix)

미상화서(catkin)

암꽃 1개에 수많은 수꽃으로 하나의 꽃처럼 보이는 화서.

  • 호두나무, 너도밤나무,

배상화서(cyathium)

  • 붉은대극

붉은대극2

[참고 자료]

꽃차례 (화서)

위키백과 “꽃차례

  1. 이 글은 네이버 블로그 <꽃차례 [화서(花序)]>에서 가져왔다. ↩︎
  2. 이미지출처 [https://species.nibr.go.kr/species/speciesDetail.do?ktsn=120000062385] ↩︎

Leave a Com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