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포시 만호동

Views: 12

만호동(萬戶洞)

만호동 개요

만호동은 목포시의 행정동으로 조선시대 만호진이 있던 곳에서 유래된 지명이다. 만호진, 목포진으로 불렸다. 일제시대 목포대라고 불렀으며, 해방 후 만호라는 지명을 다시 되찾았다. 목포진지에 오르면 앞으로는 목포항동시장이 있고, 내항이 내려다 보인다. 남서쪽으로 일본인들의 거주지가 있었고, 북쪽으로는 이순신 장군이 임진왜란 당신 왜군을 속여 전쟁에서 승리한 노정복이 바로 보인다.

  • 만호동 관할 법정동 / 만호동, 수강동, 항동, 중앙동, 금동, 경동, 중동, 해안동, 복만동, 행복동, 영해동, 대의동, 보광동, 축복동, 유동, 산정동 일부

만호동 역사

1899년 남해안통의 일부 및 동해안통의 일부, 목포대의 일부, 본정통의 일부, 산수통의 일부, 무안통의 일부가 속한다.

1953년 1월 8일 목포대(만호동), 수정(수강동), 해안통(해안동). 경정(경동), 중정(중동), 금정(금동), 유정(유동), 항정(항동)을 합하여 만호동으로 명명한다.

1997년 1월 1일 행정동 분합에 의해 만호동 전지역과 영해동 전지역을 통합하여 만호동으로 명명한다.

2007년 7월 1일 행정구역 변경으로 기존 만호동 경동1가, 2가 지역 일부 유달동으로 편입되고, 기존 유달동의 만호동 전부, 대의동1가, 중앙동1가, 2가 지역 일부 만호동으로 편입된다.

목포진지 입구

목포진지에서 바라본 목포 시내 방향
목포 진지에서 바라본 항동시장과 내항, 삼학도

지명유래

만호

수군 만호가 다스리던 곳이란 뜻에서 유래했다.

수강동

목포항 동쪽 개펄을 매립하여 만든 곳으로 수정1정목 수정2정목이라 불렸다. 해방 후 왜식 이름을 버리고 수강동으로 고쳐 부른다. 수강동 뜻은 나온 곳이 없다.

항동

지명유래가 보이지 않는다. 아마도 목포 내항이 있어 항동이라 부른 것 같다.

보광동

영행동

유동

축복동

해안동

일제시대 이름인 해안통에서 왔다.

행복동

Leave a Com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