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s: 14
식물 분류 체계란
식물분류 체계란 식물을 계통학적, 형태학적, 생리학적, 유전학적 특성에 따라 분류하고 명명하는 체계를 말합니다. 식물 명확히 이해하기 위한 분류 작업입니다. 식물의 분례체계는 그리 길지 않은 역사지만 생각보다 복잡하고 난해한 부분이 많으며 학자들마다 조금씩 견해가 다르기 때문에 일반인들은 헷갈리는 부분이 적지 않습니다. 이고세 소개되는 분류 체계는 역사에 따른 구분이며, 대체로 최신 구분법에서 고대의 구분으로 내려가는 역순을 따르고 있습니다.
1. APG (Angiosperm Phylogeny Group) 체계
- 설명: APG 체계는 속씨식물(Angiosperms)의 진화적 관계를 반영한 분류 체계로, 분자 데이터를 기반으로 합니다. 첫 번째 APG 분류는 1998년에 발표되었으며, 이후 APG II (2003), APG III (2009), APG IV (2016)로 개정되었습니다.
- 특징: 분자생물학적 데이터에 기초하여 속씨식물의 분류를 보다 정확하게 반영하며, 속씨식물의 대규모 그룹을 대상으로 합니다.
2. 크론퀴스트 체계 (Cronquist System)
- 설명: 1981년에 아서 크론퀴스트(Arthur Cronquist)가 제안한 체계로, 형태학적 특징을 바탕으로 식물을 분류합니다.
- 특징: 크론퀴스트 체계는 광범위한 식물의 형태학적 특징을 고려하여 분류하며, 많은 식물학자들에 의해 사용되었습니다.
3. 탈그타잔 체계 (Takhtajan System)
- 설명: 아르메니아의 식물학자 아르메니 타흐타잔(Armen Takhtajan)이 개발한 체계로, 식물의 형태학적 및 지리적 분포를 바탕으로 분류합니다.
- 특징: 이 체계는 식물의 진화적 역사와 지리적 분포를 반영하여 세밀한 분류를 제공합니다.
4. 다호그 체계 (Dahlgren System)
- 설명: 로베르트 다호그(Rolf Dahlgren)가 개발한 체계로, 주로 형태학적 특징과 화학적 특징을 바탕으로 분류합니다.
- 특징: 다호그 체계는 식물의 화학적 성분(예: 정유, 알칼로이드 등)과 형태학적 특징을 결합하여 보다 정밀한 분류를 시도합니다.
5. 엔들러 체계 (Engler System)
- 설명: 아돌프 엔들러(Adolf Engler)가 19세기 말에 개발한 체계로, 식물의 형태학적 특징을 바탕으로 분류합니다.
- 특징: 엔들러 체계는 식물의 구조적 특징을 강조하며, 특히 식물의 생식구조를 중요하게 여깁니다.
6. 비아히어 체계 (Bessey System)
- 설명: 찰스 에드윈 비아히어(Charles Edwin Bessey)가 개발한 체계로, 진화론적 원칙을 바탕으로 식물을 분류합니다.
- 특징: 비아히어 체계는 진화적 관계를 반영하여 식물을 분류하며, 현대 분류학의 기초가 되었습니다.
7. 유전자 분석 기반 체계
- 설명: 최근의 분류 체계는 주로 DNA 시퀀싱과 같은 분자생물학적 데이터를 활용하여 식물의 진화적 관계를 보다 정확하게 파악합니다.
- 특징: 유전자 분석을 통해 얻은 데이터를 바탕으로 식물의 계통수를 재구성하고, 기존의 형태학적 분류와 비교하여 보다 정밀한 분류를 제공합니다.
이처럼 다양한 분류 체계가 있으며, 각각의 체계는 식물의 형태학적, 화학적, 분자생물학적 특징을 바탕으로 식물을 분류하고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