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라남도 강진군 도암면

Views: 15

강진군 도암면(道岩面)

개요

도암면(道岩面)은 전라남도 강진군의 면이다. 강진만을 중심으로 서쪽에 자리하며 북으로는 강진읍이 남으로는 신전면을 접하고 있고, 서쪽은 해남군 옥천면을 접한다. 강진만 건너 칠량면을 접하고 있다. 강진만 중심에 가우도가 있으며, 가우도는 치량면의 중저마을과 도암면의 망호선착장과 연결되어 있다.

정약용의 유배지인 다산초당과 백련사가 있으며, 만덕산(412m)가 도암면의 중심을 가로 지르고 있다.

강진군 행정지도

역사

  • 940년(태조 23년) : 양무군이 도강군(道康郡)으로 탐진현은 영암군 속현이 되었다.
  • 1124년(인종 2년) : 영암속현이 장흥부의 속현이 되었다.
  • 조선시대에 영파, 덕서, 계라, 지석, 강정, 덕년리를 파지대면(波之大面)으로 만덕, 학장 용흥, 신기, 항촌, 석문, 수양리는 보암면(寶岩面)이라하고 용월, 벌정, 송천, 사초, 용화 영관리와 해남군의 북평면 월성, 항리, 만수, 좌일, 금당, 내봉, 봉리, 중산, 방축, 남촌리를 백도면(白道面)이라 하였다.
  • 1914년 : 행정구역의 개편으로 백도면(白道面)의 월성, 항리, 만수, 좌일, 금당, 내동, 동리, 중산, 방축, 남촌리를 해남군 북평면에 편입시키고, 파지대면(波之大面), 보암면(寶岩面), 백도면(白道面) 일부와 완도군에 속했던 가우도(駕牛島)를 편입하여 도암면(道岩面)이라 개칭(改稱)하고 면사무소를 항촌리 장촌 마을에 설치하였다.
  • 1973년 7월 1일 : 영파리(永波里)를 강진읍(康津邑)에 편입시키고 조선시대 백도면 관할 이였던 용월, 벌정, 송천, 사초, 용화, 영관리와, 보암면 관내인 수양등 7개리를 분할하여 도암면 관할 신전출장소(薪田出張所)를 설치하였다.
  • 1990년 8월 1일 : 행정구역의 변경으로 봉황(鳳凰)마을이 해남군 옥천면에서 도암면으로 편입되었다.

도암면 법정리

  • 덕서리 (德西里) 계라리 (桂羅里) 지석리 (支石里) 강정리 (江亭里) 덕년리 (德年里) 만덕리 (萬德里) 학장리 (鶴掌里) 용흥리 (龍興里) 신기리 (新基里) 항촌리 (項村里) 석문리 (石門里) 봉황리 (鳳凰里)

[지명유래]

덕서리 (德西里)

덕촌(德村),청용(靑龍),만세(萬世)

계라리 (桂羅里)

귀라(貴羅),계산(桂山),영동(永洞)

지석리 (支石里)

지석(支石),동령(東嶺),회룡(回龍)

강정리 (江亭里)

강성(江城),산정(山亭)

덕년리 (德年里)

만년(萬年),신덕(新德)

만덕리 (萬德里)

마점(馬店),보동(寶洞),귤동(橘洞),덕산(德山),신평(新坪)

학장리 (鶴掌里)

선장(仙掌),표장(表掌),송학(松鶴),율포(栗浦)

용흥리 (龍興里)

부흥(復興),용산(龍山)

신기리 (新基里)

신기(新基),용암(龍岩),망호(望湖),가우(駕牛)

항촌리 (項村里)

항촌(項村),장촌(長村),옥전(玉田)

석문리 (石門里)

석천(石泉),성자(聖子),신리(新里),월하(月下)

봉황리 (鳳凰里)

봉황(鳳凰)

역사 문화

정다산 유적지

강진 백련사 동백나무숲

용혈암지

명발당

Leave a Com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