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라남도 강진군 지명유래 참고 사이트

Views: 15

강진군 관련 사이트

강진군 지명유래를 찾아 나선지 벌써 한 달 반이 지나고 있다. 부산시를 각 구별 지명 유래를 찾아가면서 강진군도 군-읍면-리 단위로 지명유래를 정리하다보니 보통 일이 아니다. 강진군의 1/3도 하지 못했는데 벌써 한 달 반이 흘렀으니 전국을 다 조사하려면 기초의 기초만 해도 몇 년은 걸릴 것 같다는 생각이 든다.

참고 사이트

강진군 지명유래와 마을의 특징을 찾아 가면서 도움을 받았던 사이트들이다.

강진군청 홈페이지

깊지는 않지만 강진군내 전체를 대략적으로 훓어 볼 수 있도록 한글파일까지 올려 놓았다. 아마도 향토사학자들에게 도움을 받아 정리한 듯하다. 자료를 찾아가면서 의아한 부분이 몇 곳이 보이지만 잘 정리한 것 같다.

강진신문

강진에 살지 않아서 신문사의 크기가 얼마인지 어떻게 운영되는지 알지 못하나 일단 많은 기사들이 강진신문과 강진일보가 대부분이다. 그런데 왜 아직도 SSL작업을 하지 않고 않고 있는지 이해가 되지 않는다. 보안이 취약해 보인다.

강진일보

무엇보다 많은 도움을 받았던 신문은 강진일보다. 강진일보에서 기획특집으로 내보내는 ‘추억과 함께 떠나는 걸어서 고향앞으로’는 마을 주민들과 인터뷰를 싣고 있어서 현장감이 있어서 좋았다.

위키백과

위키백과를 빼 놓을 수 없다. 하지만 아쉽게도 머나먼 남쪽 지역이라 그런지 내용은 매우 부실했다. 하지만 간간히 쓸만한 자료도 있어 도움이 되었다.

강진군지

많은 도움을 받지 못했지만 전체적으로 강진이 어떤 곳인지를 알 수 있어 도움을 받았다. 강진군지는 현재 국회도서관에서 PDF로 다운 받아 직접 열어 볼 수 있어 좋았다.

강진문화원

그외 사이트 및 참고 자료

칠량면 봉황 마을에서 옹기를 실어 나르던 선박을 연구한 전자책으로 무료로 다운 받아 볼 수 있어 참 좋았다. 조선 조운선과 고려시대 청자운반선도 볼 수 있다.

강진군 출신 인물 목록이다.

1891년 7월부터 1903년 4월까지 박기현이 전라남도 강진의 향촌생활을 중심으로 작성한 일기로 동한 연구에 중요한 사료이다.

전남 남해안의 별신제를 정리한 논문이다.

인터넷 검색을 하면서 안타까운 마음이 많이 들었다. 수많은 사람들이 고향을 떠나 도시에 살아가고 있을 것이다. 고향에 대한 기억, 추억을 담은 글을 검색될 수 있도록 올렸으면 좋겠는데 거의 보이지 않는다.

이 글은 일제시기 강진군의 농업 상공업 등 경제변동과 이를 주도한 지주들의 동향을 다루었다. 강진군에 일본인 지주들이 들어온 것은 다른 지역보다 늦은 1910년 이후였다. 이때 조선실업과 가마타산업에 이어 일본인 상인 지주들이 들어와 활동하기 시작했다. 일본인 농민은 동척이민이 주류이고 대부분 자작이민이다. 정착과정에서 조선농민과 충돌하여 동척이민 반대운동이 일어나기도 했다. 강진군은 수전농업 위주이고 지주제가 발달했다. 지주는 대지주도 있지만, 소지주가 압도적이었으며, 농민들은 대부분 이들의 소작농이었다.
일본인 지주과 상인들은 미곡무역 운수업 정미업 교통업 등에 활발하게 진출했지만, 조선인 지주들을 능가하지 못했다. 강진군에 진출한 쇼와전기 조선실업 가마타산업 등 대기업은 외래의 일본인 자본이었다. 농업부분에서도 외래의 일본인 자본가가 주도한 간척사업이 주목 된다. 조선인 대지주들은 일본인 지주 자본가들을 압도하며 여러 분야에서 활동하였다. 첫째, 교육 부분에서는 금릉학교 설립을 비롯하여 민립대학설립운동, 보성전문학교와 세부란스병원 등에 대한 기부활동에 적극적이었다. 둘째, 면장과 면협의회 위원, 금융조합과 수리조합의 조합장 등 일제의 통치기구에 적극 참여하였다. 셋째, 회사형태의 농장 설립 등에서 선도적 역할을 했다. 이들은 운수 창고업, 금융업, 정미업, 주조업 등의 회사를 설립했을 뿐만 아니라 호남은행 전남도시제사 등에 주주나 임원으로 참여하였다. 김충식과 차종채는 경성에서 운수업과 증권회사를 설립하기도 했다.
강진군 지주 자본가의 한계는 대체로 농산물의 일차 가공업에 그쳤다는 점이다. 강진군에서 일제의 통치기구에는 1930년대 전반까지는 대지주들이 주로 참여하였지만, 그 후에는 자작농이나 소지주들의 참여가 크게 증가하였다.

  • 정민, 강진군 백운동 별서정원
  • 정민, 다산과 강진 용혈
  • 김선태, 강진 문화 기행
  • 강진인물사 1.2.3권
  • 주희춘, 강진 여성 인물사

댓글 남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