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라남도 강진군 행정구역 및 지명유래

Views: 80

전라남도 강진군

강진군(康津郡) 개요

전라남도 강진군은 탐진강의 마지막 하류지역이고, 강진만을 사이로 갈라져 있다. 강진읍을 중심으로 동쪽은 장흥군이고, 서쪽은 해남군이다. 북쪽은 영암군이 자리한다. 주변 지역에 비해 관광이 발달해 있고, 땅값도 대체로 비싼 편이다.

조선시대 이름은 도강현이었고, 이전에는 백제의 도무군에 속했다. 통일신라시대에는 양무로 고쳤다고 다시 고려 때 도강현이 되었다.

강진군 행정구역 및 지명유래

강진읍康津邑

강진(康津)은 옛 지명인 도강현과 탐진현에서 왔다. 도강의 강, 탐진의 진을 합성하여 강진이 되었다.

  • 동성리(東城里) 동문(東門),목화(木花),고내(庫內),동명(東明)
  • 남성리(南城里) 남문(南門),탑동(塔洞)
  • 서성리(西城里) 서문(西門),신성(新城),홍암(紅岩)
  • 교촌리(校村里) 신풍(新豊),교촌(校村),점수(点水)
  • 목리(牧里) 목리(牧里)
  • 평동리(平洞里) 중앙동(中央洞),평동(平洞)
  • 남포리(南浦里) 남포(南浦)
  • 학명리(鶴鳴里) 도원(桃源),호산(虎山),학산(鶴山), 초동(草洞)
  • 임천리(林川里) 학림(鶴林),신천(新川)
  • 영파리(永波里) 장동(壯洞),팔영(八永),차경(且耕)
  • 덕남리(德南里) 기룡(基龍),덕동(德洞),춘곡(春谷)
  • 송전리(松田里) 송정(松亭),장전(長田),화전(花田)
  • 송덕리(松德里) 송현(松峴),봉덕(鳳德)
  • 춘전리(春田里) 신학(神鶴),부춘(富春),보전(寶田),월정(月汀)
  • 서산리(瑞山里) 발산(鉢山),향일(向日),옥치(玉峙),월남(月南)

군동면郡東面

군의 동쪽이란 의미로 만들어진 이름이다. 강진군의 가장 동쪽이며, 장흥군과 접하고 있다.

  • 파산리(琶山里) 금곡(金谷),신리(新里),생동(笙洞)
  • 호계리(虎溪里) 호동(虎洞),문화(文化),영포(永浦),갈전(葛田),오산(五山)
  • 라천리(羅川里) 평리(平里),남향(南向),시목(柿木),동동(東洞)
  • 금강리(錦江里) 내동(內洞),안풍(安豊),서은(瑞隱)
  • 화산리(華山里) 화방(花坊),삼화(三化),영화(永化)
  • 용소리(龍沼里) 안지(安池),신기(新基),석동(席洞)
  • 풍동리(豊洞里) 풍동(豊洞),봉산(峰山),벽송(碧松),명암(鳴岩)
  • 장산리(獐山里) 장항(獐項),중산(中山),대곡(大谷)
  • 덕천리(德川里) 덕천(德川),양산(良山)
  • 석교리(石橋里) 석교(石橋)
  • 쌍덕리(雙德里) 평덕(平德),관덕(觀德)
  • 금사리(金沙里) 덕마(德馬),금사(金沙),월봉(月峰),왕마(旺馬)
  • 삼신리(三新里) 비자동(榧子洞),연화(連花),학평(鶴坪)

칠량면(七良面)

강진읍의 남동부에 위치한다. 강진에서 마량으로 가는 첫 면소재지다. 조선시대부터 ‘칠량’이란 지며을 가지고 있었다. 칠량이 정확히 어떤 의미인지 알 수가 없다. 다른 지역에 비해 농토가 많으며, 탐진강과 명주천이 흘러가는 것을 보면 양식과 관련이 있지 않을까 싶다. 이 지역은 고인돌도 발견되는 지역이다.

  • 영동리(永東里) 영동(永東),강동(講洞),월궁(月弓),운산(雲山),연곡(蓮谷)
  • 송정리(松汀里) 영계(永桂),송촌(松村)
  • 삼흥리(三興里) 신흥(新興),삼강(三康)
  • 단월리(丹月里) 목암(牧岩),율변(栗邊),월송(月松)
  • 명주리(明珠里) 명주(明珠),사구(沙邱)
  • 흥학리(興鶴里) 중흥(中興),학동(鶴洞)
  • 장계리(長溪里) 아산(峨山),반계(磻溪),장포(長浦)
  • 현평리(峴坪里) 고현(高峴),신암(新岩)
  • 봉황리(鳳凰里) 덕동(德洞),보련(寶蓮),봉황(鳳凰),사부(砂富)
  • 영복리(永福里) 영풍(永豊),만복(萬福),한림(翰林)
  • 동백리(冬栢里) 동백(冬栢),현천(玄川),벽송(碧松)
  • 송로리(松路里) 구로(舊路),송산(松山)

강진군 칠량면 봉황마을 2020년

대구면(大口面)

강진만의 동쪽 중간에 자리한다. 예전에는 현재의 마량면까지 관할했지만 현재는 마량리는 마량면으로 승격하고 대구면은 마량면에 속한 나머지 지역을 관할한다. 대구라는 지명은 조선시대 ‘대구소’가 기록되어 있고, 이곳에서 유래했다.

  • 수동리(水洞里) 수동(水洞)
  • 사당리(沙堂里) 백사(白沙),미산(尾山),당전(堂前)
  • 용운리(龍雲里) 용문(龍門),항동(巷洞)
  • 계율리(桂栗里) 계치(桂峙),청용(靑龍),난산(卵山)
  • 구수리(九修里) 남호(南湖),구곡(九谷)
  • 저두리(猪頭里) 상저(上猪),중저(中猪),하저(下猪)

마량면(馬良面)

강진군의 남단에 위치하며 마량항이 자리하고 있어 수산업이 발달한 지역이다. 고금도로 들어가는 연륙교가 만들어지기전에는 고금, 약산, 신지, 금당, 평일도 등으로 들어가는 배들이 머무는 곳이었다. 당시는 많은 교통량이 마량항에 몰렸다. 식당과 마트, 모텔 등이 성행했지만 지금은 그 때에 비하면 형편없을 정도로 기울었다.

마량은 제주도에서 오는 말이 쉬어가는 곳이란 뜻을 가진 지명 ‘마량리’에서 왔다. 마량 주변에는 말 마를 사용하는 원마, 신마 등은 모두 말과 관련이 있는 곳들이다.

마량항 2016년

  • 영동리(永東里) 산동(山東),영춘(永春)
  • 상흥리(上興里) 상분(上分),하분(下分)
  • 원포리(垣浦里) 원포(垣浦),연동(蓮洞),숙마(宿馬)
  • 마량리(馬良里) 신마(新馬),원마(元馬)1구,원마(元馬)2구,서중(書中)
  • 수인리(修仁里) 수인(修仁)

도암면道岩面

도암면은 조선시대 파지대면, 보암면에 해당된 지역이다. 조선말기에는 파대면과 보암면, 백도면으로 나뉜다. 도암은 백도의 ‘도’와 보암의 ‘암’을 합성하여 만든 것이다.

  • 덕서리(德西里) 덕촌(德村),청용(靑龍),만세(萬世)
  • 계라리(桂羅里) 귀라(貴羅),계산(桂山),영동(永洞)
  • 지석리(支石里) 지석(支石),동령(東嶺),회룡(回龍)
  • 강정리(江亭里) 강성(江城),산정(山亭)
  • 덕년리(德年里) 만년(萬年),신덕(新德)
  • 만덕리(萬德里) 마점(馬店),보동(寶洞),귤동(橘洞),덕산(德山),신평(新坪)
  • 학장리(鶴掌里) 선장(仙掌),표장(表掌),송학(松鶴),율포(栗浦)
  • 용흥리(龍興里) 부흥(復興),용산(龍山)
  • 신기리(新基里) 신기(新基),용암(龍岩),망호(望湖),가우(駕牛)
  • 항촌리(項村里) 항촌(項村),장촌(長村),옥전(玉田)
  • 석문리(石門里) 석천(石泉),성자(聖子),신리(新里),월하(月下)
  • 봉황리(鳳凰里) 봉황(鳳凰)

신전면薪田面

  • 수양리(水良里) 수양(水良),삼인(三仁),봉양(鳳陽)
  • 용월리(龍月里) 노해(路海),백용(白龍),대월(大月),부춘(富春)
  • 벌정리(筏亭里) 논정(論亭),대벌(大筏),약천(藥川)
  • 송천리(松川里) 송천(松川)
  • 사초리(沙草里) 사초(沙草)
  • 용화리(龍花里) 백화(栢花),신정(新亭),용정(龍井),신흥(新興)
  • 영관리(永貫里) 어관(魚貫),영수(永守)

성전면(城田面)

  • 월남리(月南里) 신월(新月),상월(上月),월남(月南),달빛한옥
  • 월하리(月下里) 안운(安雲),월하(月下),죽전(竹田)
  • 영풍리(永豊里) 신풍(新豊),영흥(永興)
  • 송월리(松月里) 월송(月松),신안(新安),대월(大月)
  • 월평리(月平里) 제전(楮田),월산(月山),처인(處仁),원기(院基)
  • 성전리(城田里) 신시(新市),시천(市川),낭동(浪洞),용운(龍雲)
  • 도림리(桃林里) 도림(挑林),신예(新曳),장등(長嶝)
  • 금당리(金塘里) 금당(金塘),거목(巨木)
  • 송학리(松鶴里) 송학(松鶴)
  • 명산리(明山里) 당산(堂山),명동(明洞),오산(五山)
  • 수양리(秀陽里) 동령(東令),신기(新基),수암(秀岩)

작천면(鵲川面)

  • 평리(坪里) 상평(上坪),하평(下坪)
  • 내기리(內基里) 내동(內洞),신기(新基),부와(浮蛙)
  • 삼열리(三烈里) 죽산(竹山),용동(龍洞)
  • 용상리(龍祥里) 용정(龍井),구상(九祥),척동(尺洞)
  • 군자리(君子里) 군자(君子),행정(杏亭)
  • 갈동리(葛洞里) 갈동(葛洞),퇴동(兎洞),학동(鶴洞)
  • 현산리(峴山里) 죽현(竹峴),박산(博山)
  • 평기리(坪基里) 교동(橋洞),기동(基洞)
  • 삼당리(三棠里) 상당(上堂),중당(中堂),하당(下堂)
  • 야흥리(冶興里) 부흥(復興),야동(冶洞)
  • 이남리(梨南里) 상남(上南),하남(下南)
  • 토마리(土馬里) 토동(土洞),이마(離馬)

병영면(兵營面)

조선시대 노상면과 노하면에 해당되는 지역이다. 병영에는 조선시대 병마절도사 병영이 있었던 곳이다. 연해에 왜구가 날뛰자 1417년 광산현에서 병영으로 옮겨오게 되면서 ‘병영’이란 이름을 갖게 된 것이다.

  • 상락리(上樂里) 상림(上林),낙산(樂山)
  • 지로리(枳路里) 지로(枳路)
  • 성동리(城東里) 동성(東城),남성(南城)
  • 성남리(城南里) 성남(城南)
  • 박동리(朴東里) 박동(朴東)
  • 삼인리(三仁里) 동삼인(東三仁),서삼인(西三仁),남삼인(南三仁),신지(新池)
  • 한학리(翰學里) 한림(翰林),학사(學士)
  • 상고리(上古里) 상고(上古)
  • 중고리(中古里) 중고(中古),중가(中加)
  • 하고리(下古里) 하고(下古),발천(鉢川)
  • 도룡리(道龍里) 도룡(道龍),용두(龍頭)
  • 삭양리(朔羊里) 백양(白羊),삭둔(朔屯)

옴천면唵川面

  • 봉림리(鳳林里) 오추(梧秋),연동(蓮洞),죽림(竹林)
  • 황막리(黃幕里) 동막(東幕),화신(花新),황곡(黃谷)
  • 월곡리(月谷里) 구곡(舊谷),신월(新月)
  • 영산리(永山里) 계원(桂院),영복(永福)
  • 기좌리(己佐里) 사동(巳洞),좌척(佐尺)
  • 개산리(蓋山里) 오곡(五谷),개산
  • 정정리(井亭里) 대곡(大谷), 정동(井洞), 송용(松龍)