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s: 76
영암군 개요
영암군은 전라남도 남서부에 위치한 군으로 강진군과 장흥군, 화순군, 목포시와 무안군과 맞닿아 있다. 삼한시대 마한에 속했고, 백제 황금기에 영암출신 왕인 박사가 일본에 신문물을 전했다고 한다. 2읍과 9면으로 이루어져 있고, 월출산이 유명한 관광지다.


영암군 행정구역 및 인구 통계1
[읍면(한자명) / 면적 / 인구]
영암군(靈巖郡) 604.24 / 52,050
영암읍(靈巖邑) 59.7 / 7,778
삼호읍(三湖邑) 88.5 / 15,390
덕진면(德津面) 26.2 / 1,727
금정면(金井面) 72.9 / 2,005
신북면(新北面) 48.9 / 3,460
시종면(始終面) 62.0 / 3,279
도포면(都浦面) 34.9 / 2,103
군서면(郡西面) 57.2 / 3,071
서호면(西湖面) 44.0 / 1,816
학산면(鶴山面) 61.9 / 2,866
미암면(美巖面) 47.6 / 2,097
굉장히 특이하다. 영암군 전체로 보면 남자는 27,257면 여자는 24,793명이다. 아마도 삼호읍의 대불 공단으로 인해 노동자들이 대거 들어오면서 일어난 현상이 아닐까 싶다.

영암군 지명유래
아래의 지명 유래는 점(●)으로 표시된 부분은 영암군 홈페이지(지명유래)에서 가져왔으며, 그 외의 자료는 필자가 책이나 인터넷 자료들을 참고하여 작성한 것이다.
영암읍
- 영암읍은 영암군청의 소재지로 백제 때는 월라군(月奈郡)에, 신라 때는 영암군에 속했던 영암의 중심 고을이다. 영암군의 첫머리라 하여 군시면이라 하였고, 조선후기(朝鮮後期) 기록인 『호구총수(戶口總數)』(1789)에 의하면 군시면이 65 마을에 군종면(郡綜面)이 36개 마을이고 행정구역 개편 직전인 1912년에 발행된 『지방행정구역명칭총람』에 군시면이 23개마을 군종면이 44마을로 기록되었다.
- 영암읍은 1914년 4월 1일 행정구역 개편시 군시면(郡始面)과 군종면(郡終面)을 통폐합하여 영암군의 소재지이므로 영암면이라 개칭하고 회문(會門), 교동(校洞), 서남(西南), 동무(東武), 역(驛), 남풍(南豊), 춘양(春楊), 용흥(龍興), 개신(開新), 망호(望湖), 대신(大新), 장암(場岩), 학송(學松), 농덕(農德), 한대(寒大)리의 15개 리로 통폐합 되었고 1973년 7월 1일 군조례 제 287호에 의하여 군서면 송평리를 편입하여 16개리로 확장, 군청소재지 읍(邑)으로 승격(昇格)되어 동(東)으로는 금정면과 강진군 옴천면, 북(北)으로는 덕진면, 서(西)쪽으로는 군서면 남(南)쪽은 월출산을 배경으로 강진군과 경계를 이루고 있다.
영암이란 지명은 월출산의 바위에서 왔다. 월출산에는 움직이는 바위 3개가 있었는데 중국 사람들이 이 바위들을 밀어서 떨어 뜨리자 하나의 바위가 스스로 일어나 다시 올라갔다고 한다. 그 바위의 이름이 영암이다. 움직이는 바위란 뜻의 동석인 영암은 큰 인물이 날거라며 마을 이름도 영암이라 하였다고 한다. 마한시대 54개국 중에서 후기에 가장 강력한 힘을 발휘했던 월지국으로 추정하고 있다. 통일시라 시대에 처음으로 지역 전체를 영암이라 불렀다.
[영암읍 관할 법정리]
회문리
교동리
서남리
동무리
역리
남풍리
춘양리
용흥리
개신리
송평리
망호리
대신리
장암리
농덕리
학송리
한대리
삼호읍
- 삼호읍(三湖邑)은 영암군 11읍면 중의 하나로 동쪽은 학산면(鶴山面), 남쪽은 미암면(美岩面)과 호수를 건너 해남군 산이면, 서쪽은 목포시, 북쪽은 전라남도(全羅南道) 도청(道廳)이 들어선 무안군 삼양면 남악 신도시와 영산호를 사이에 두고 경계를 이루고 있다.
- 조선 정조(正祖) 때의 기록인 호구총수(1789년)나 일제 때 펴낸 구 한국 지방행정구역 명칭일람(1912년) 기록에 의하면 삼호읍은 곤미현(昆湄縣)에 속하여 그 끝이 되므로 곤일종면(昆一終面)이라 하여 간내항 등 47마을을 관할하였다. 1914년 4월 1일 행정구역 통 · 폐합(廢合)에 따라 지금의 행정구역인 서창(西倉). 망산(望山),. 동호(東湖), 서호(西湖), 산호(山湖), 용앙(龍仰), 난전(蘭田), 삼포(三浦), 나불(羅佛), 용당(龍塘)리 등 10개 법정리로 개편하였다가, 2003년 5월 1일자로 인구 2만이 넘어 영암군에서 영암읍(靈岩邑)에 이어 두 번째로 읍으로 승격한 군내에서 가장 큰 지역으로 성장하였다. 본래 삼호읍은 삼면(三面)이 바다로 둘러싸여 땅도 좁고 척박하였으나, 이렇게 급성장 하게 된 배경은 영산강 유역 농업 개발 3~4단계사업으로 영암과 목포, 영암과 해남을 연결하는 하구둑의 축조로 목포시와 육지로 연결되고 영산호(榮山湖), 영암호(靈岩湖)의 인공호수가 조성되고 목포 내해(內海)에 둘러 싸여 지명(地名)과 같이 삼호(三湖)가 된 데서 찾을 수 있다.
- 대규모의 간척사업으로 생긴 간척지에 400만평의 대불(大佛)산업단지가 조성되고, 용당리 가지도(可之島) 100만평에 세계(世界) 5위의 조선소(造船所)인 현대 · 삼호중공업이 들어서서 서남해안의 중심 산업단지(産業團地)로 발전되고 있다. 또한 용당리에 해군(海軍) 제3방어 전단사령부와 목포비행장이 들어서고, 인근 산호리에 종합대학인 대불대학교(大佛大學校)가 개교되어 1970년대부터 시작된 삼호지역의 변화는 천지개벽(天地開闢)이라는 설명 이외는 달리 표현할 수가 없다.
삼호는 세 개의 호수란 뜻으로 영산강 하구언이 만들어지면 영산호, 염아호, 그리고 영산강 하류가 호수처럼 되어 붙여진 이름이다.
[삼호읍 관할 법정리]
서창리
망산리
동호리
서호리
산호리
나불리
용앙리
난전리
삼포리
용당리
덕진면
- 영암군의 11 읍면의 하나로 동쪽은 금정면, 남쪽은 영암읍, 서쪽은 도포면, 북쪽은 신북면에 접하여, 이전에는 면내 용산리, 장선리, 덕진리 일부가 영산강의 해수면에 접하였으나, 영암과 목포를 연결한 영산강 하구둑 축조로 내륙지역이 되었다. 조선 정조(正祖) 때 발행한 호구총수(1798년)에 의하면 영암읍의 북쪽에 있다 하여 북일시면(北一始面)이라 하여 46마을을 관활하였고, 일제 강점기인 1914년 4월 1일 행정구역폐합에 따라 북이종면(北二終面)의 만송정(晩松亭), 월계리(月溪里)를 병합하여 용산(龍山). 장선(長善). 금강(錦江). 덕진(德津). 백계(栢溪). 영등(永嶝). 운암(雲岩). 영보(永保). 노송(老松)의 9개 리 41 마을로 개편, 관할 하였으며 1929년 면 명칭의 변경으로 덕진면(德津面)으로 명칭을 바꾸어 현재에 이르게 되었다. 덕진이라는 지명의 유래는 덕진다리(德津橋) 전설과 관련한 덕진리가 면소재지가 되므로 덕진면(德津面)이라 부르게 되었다.
덕진이란 지명은 덕진다리에서 에서 유래한 것이다. 덕진은 신라시대의 여인의 이름으로 여인숙을 경영했다. 다리가 없던 시절 이 여인은 자신의 돈과 사람들에게 돈을 다리를 세우려 했으나 뜻을 이루지 못하고 죽게 된다. 이때 새로 부임한 영암원님의 꿈에 찾아가 부탁했다고 한다.2
[덕진면 관할 법정리]
영보리
덕진리
운암리
금정면
- 영암군 11 읍면 중의 하나로 동(東)쪽은 장흥군 유치면, 남(南)쪽은 영암읍, 서(西)쪽은 덕진면과 신북면, 북(北)쪽은 나주시(羅州市) 세지면과 봉황면에 접경을 이루고 있다. 본래는 나주군의 지역으로 사금(砂金)이 많이 나온다하여 금마면(金磨面)이라 하여 남송(南宋) 등 57마을과 나주군 원정면(元正面)의 월평(月坪) 등 29개 마을, 그리고 나주군 세화면(細花面) 임천리(林泉里) 일부지역을 병합하여 조선 고종(高宗) 32년(1895년)에 지방관제 개정으로 영암군에 편입하여, 1914년 4월1일 군, 읍, 면 폐합에 따라 용산(龍山), 남송(南宋), 쌍효(雙孝), 세류(細柳), 아천(鴉川), 안로(安老), 연보(蓮寶), 연소(燕巢), 와운(臥雲), 용흥(龍興), 월평(月坪), 청용(靑龍)의 12개 이(里)로 개편, 금마(金磨)면의 “금(金)”자와 원정(元正)면의 “정(井)”자를 따서 금정면(金井面)이라 칭하여 현재에 이르렀다가 1973년 7월 1일 대통령령 제6542호에 의하여 용산리(龍山里)가 서쪽에 있는 신북면(新北面)에 가까운 곳이라 하여 신북면으로 넘겨져서 현재 11개 리를 관할하고 있다.
금정면 관할 법정리
연보리
아천리
월평리
와운리
안로리
용흥리
남송리
연소리
쌍효리
세류리
청용리
신북면
- 영암군 11 읍면 중의 하나로 군의 북쪽에 위치하고, 동쪽은 본군의 금정면과 나주시 세지면(細枝面). 남쪽은 본군의 덕진면과 도포면, 서쪽은 본군의 시종면과 나주시 반남면(潘南面). 북으로는 나주시 세지면과 왕곡면과 접경을 이루고 있다. 행정구역 개편(1914년) 이전에는 군의 북쪽 끝자리에 있다 하여 북이종면(北二終面)이라 하여 수현(水峴)등 65개 마을을 관할하고, 1914년 4월 1일 일제(日帝)시 행정구역의 통폐합에 따라 북일종면(北一終面)의 탑동(塔洞), 호산(虎山) 2 마을과 종남면(終南面)의 복용동(伏龍洞) 일부와 나주군에 속하였던 비음면(非音面)의 갈곡(葛谷), 종오(終吾), 우정(牛亭), 신월(新月), 연곡(蓮谷), 학동(鶴洞), 연동(連洞), 양계(兩溪), 백우(白羽), 금계(金溪), 서동(西洞), 유곡(酉谷), 모산(茅山), 방축(防築)의 14개 마을과 반남면(潘南面)의 평촌(坪村), 성덕(成德), 하촌(下村)의 일부, 그리고 세화면(細花面)의 황계(黃溪) 일부지역을 병합하여 신북면(新北面)이라 개칭하여 갈곡(葛谷), 학동(鶴洞), 양계(兩溪), 모산(茅山), 금수(金水), 유곡(酉谷), 장산(長山), 명동(明洞), 이천(梨泉), 월평(月坪), 행정(杏亭), 월지(月池)의 12개 법정리를 관활하다가 1973년 7월 1일 대통령령 제 6542호로 금정면에 속하였던 용산(龍山)리를 신북면으로 편입하여 13 개리를 관할하여 현재에 이르고 있다.
[신북면 관할 법정리]
모산리
금수리
유곡리
갈곡리
학동리
양계리
장산리
명동리
용산리
이천리
월평리
행정리
월지리
시종면
- 영암군의 11 읍면 중의 하나로 군의 북쪽에 위치하여 동쪽에는 도포면과 나주시 반남면(潘南面), 남쪽에는 덕진면과 영암천을 사이에 두고 군서면과 서호면이 있으며, 서쪽은 영산강으로 강 건너에 나주시 동강면(東江面)과 무안군 일로읍, 북쪽은 나주시 반남면, 공산면과 경계를 이루고 있다. 행정구역(1914년)이전에는 영암군의 북쪽 첫머리가 된다 하여 북이시면(北二始面) 이라 하여 쌍구(雙邱)리 등 56 마을 관활하였다가 일제강점기인 1914년 4월 1일 군, 면, 통폐합에 따라 나주군(羅州郡)의 종남면(終南面)이었던 달지(達池) 등 25 마을과 진도군(珍島郡) 명산면(命山面)의 화산(花山) 14 마을을 합하여 북이시면(北二始面)의 시(始)와 종남면(終南面)의 종(終)을 따서 시종면(始終面)이라 칭하였으나 내동(內洞), 월송(月松), 태간(泰澗), 만수(萬樹), 월롱(月弄), 금지(錦地), 월악(月岳), 신흥(新興), 신연(新嚥), 옥야(沃野), 와우(臥牛), 구산(九山), 봉소(鳳巢), 신학(新鶴)의 14개 법정리로 개편되여 현재에 이르고 영산강 유역 농업종합개발에 따라 해수면(海水面)이 없어지고 많은 농토가 늘어나서 농·어촌에서 전형적인 농촌으로 변화되었다.
[시종면 관할 법정리]
내동리
월송리
태간리
만수리
월롱리
금지리
월악리
신흥리
옥야리
와우리
구산리
봉소리
신학리
도포면
- 영암군의 2 읍 9 면 중의 하나로 군의 중앙에 위치하며 동쪽과 북쪽은 신북면이고 남쪽은 덕진면과 영산강을 건너의 군서면이고 서쪽은 시종면과 접경을 이루고 있다. 행정구역개편(1914년) 이전에는 영암면의 북쪽에 있다하여 북일종면(北一終面)이라 하여 원목점(元木店)등 56 마을을 관할 하다가 1914년 4월 1일 일제(日帝) 시·군·면 통폐합에 따라 나주군(羅州郡) 종남면(終南面)의 인덕(仁德)등 6 마을과 북이시면(北二始面)의 태산(泰山), 중명(中命)의 일부를 병합하여 원항(元項), 덕화(德化), 봉호(鳳湖), 도포(都浦), 구학(九鶴), 영호(永湖), 성산(聖山), 수산(水山)의 법정리를 관할하였고 1932년 면의 명칭을 도포면으로 개칭(改稱)하여 현재에 이르고 있다. 영산강 농업개발로 도포리, 원항리가 해변이었으나 바다는 없어지고 해수면의 많은 면적이 농토로 바뀌었다.
[도포면 관할 법정리]
원항리
봉호리
덕화리
도포리
영호리
구학리
수산리
성산리
군서면
- 영암군의 2 읍 9 면 중의 하나로 월출산을 끼고 있는 면으로 동쪽은 영암읍, 남쪽은 월출산과 학산면 일부와 접하였고 서쪽은 서호면과 북쪽은 영산강을 사이에 두고 도포면과 경계를 이루고 있다. 행정구역개편(1914년) 이전에는 영암면의 서쪽의 첫머리 있다 하여 서시면(西始面)이라 하여 성지천(省之川) 등, 34 마을을 관할하다가 광무2년(1898년)에 서종면(西終面)의 서호정(西湖亭)등 19 마을을 병합하여 영암군의 서쪽이 되므로 군서면이라 개칭(改稱)하고 동구림(東鳩林), 서구림(西鳩林), 도갑(道岬), 모정(茅亭), 양장(羊場), 동호(東糊), 성양(省陽), 월곡(月谷), 마산(馬山), 도장(道長), 해창(海倉), 송평(松平)의 12개 법정리를 관할하였다. 1973년 7월 1일 대통령령 제6542호에 의하여 송평(송계, 평장, 신기, 신정)리를 영암읍에 넘겨 주고 현재 11개리를 관할하게 되었고 영산강 농업개발 이전에는 해변이었으나 영산강 하구둑을 축조하면서 육지가 되면서 해수면의 많은 면적이 농토가 되었다.
[군서면 관할 법정리]
동구림리
서구림리

모정리
양장리
동호리
성양리
월곡리
마산리
도장리
해창리
서호면
- 영암군 2 읍 9 면중의 하나로 군청 소재지인 영암읍의 서쪽에 위치하여 동쪽은 군서면, 남쪽과 서쪽은 학산면, 북쪽은 영산강 건너 시종면, 무안군 일로읍과 경계를 이루고있다. 통일신라 이전에는 곤미현(昆湄縣)에 속하였으나 신라 때 영암에 편입하여 행정구역개편(1914년) 이전에는 곤미현(昆湄縣)에 속하였던 지역의 끝자락에 있다 하여 곤이종면(昆二終面)이라 하여 아천(牙川)등 30 마을을 관할하였다. 1914년 4월 1일 군·면 통폐합 시 곤이시면(昆二始面)의 신소정(新沼亭) 일부를 병합하여 몽해(夢海), 화송(華松), 청용(靑龍), 엄길(奄吉), 장천(長川), 쌍풍(雙豊), 소산(巢山), 성재(聖才), 금강(錦江), 태백(太白)의 10개 법정리(法定里)를 관할하고, 1930년 4월 1일 영암군의 서쪽의 영산강에 접하고 있다 하여 서호면(西湖面)으로 면이름을 바꾸어 현재에 이르고 있으며, 영산강 농업개발로 많은 바다의 갯벌이 농토로 바뀌었다.
[서호면 관할 법정리]
몽해리
화송리
청룡리
엄길리
장천리
쌍풍리
소산리
성재리
금강리
태백리
학산면
- 영암군 2 읍 9 개면의 하나로 군청 소재지인 영암읍의 서쪽에 위치하는데 동쪽은 강진군 성전면(城田面)이고, 남쪽은 미암면 해남군 계곡면(溪谷面)이며, 서쪽은 삼호읍, 북쪽은 영산강 건너 무안군 일로읍(一老邑)임. 통일신라 이전에는 곤미현(昆湄縣)에 속하였으나 통일신라 때 영암에 편입하였고, 행정구역개편(1914년) 이전에는 곤미현(昆湄縣) 지역의 앞쪽에 있다 하여 곤이시면(昆二始面)이라 하여 초안(草岸)등 47 마을을 관활하였으며 1914년 군.면 통폐합에 따라 금계(金溪), 독천(犢川), 매월(梅月), 상월(上月), 신덕(新德), 용산(龍山), 용소(龍沼), 은곡(隱谷), 묵동(墨洞), 학계(鶴溪) 등 10개 법정리(法定里)를 관활하도록 개편됨. 1932년 학계의 학(鶴)자와 용산의 산(山)을 따서 학산면(鶴山面)으로 행정구역상의 면 명칭을 바꾸어 현재에 이름.
[학산면 관할 법정리]
용산리
상월리
목동리
학계리
용소리
금계리
독천리
신덕리
은곡리
매월리
미암면
- 영암군 2 읍 9 개면의 하나로 군청 소재지인 영암읍의 서쪽에 위치하여 동쪽은 학산면이고, 남쪽은 해남군 계곡면(溪谷面)이며, 서쪽은 영암호 건너 해남군 마산면(馬山面)이며 북쪽은 삼호읍(三湖邑)과 학산면(鶴山面)이다. 백제시대는 고미현(古彌懸)의 중심지였으며, 신라 경덕왕 때에 명칭을 곤미현(昆湄縣)으로 바꾸었다가 그 후 2방으로 나누어 그 으뜸이 되므로 곤일방(昆一坊)으로 부르다가, 다시 둘로 나누어서 곤일시방(昆一始坊)이라 하였다. 광무 2년(1898년)에 방(坊)을 면(面)으로 고쳐서 곤일시면(昆一始面)이라 하여 영선(永善)등 43 마을을 관할 하다가 1914년 4월 1일 군·면 통폐합에 따라 두억(斗億), 미암(美岩), 선황(仙皇), 남산(南山), 춘동(春洞), 채지(採芝), 신한(新漢), 호포(好浦), 신포(新浦)의 9개 법정리(法定里)를 관할하고 1928년 면의 중앙이 되는 미암리의 이름을 따서 미암면(美岩面)으로 명칭을 바꾸어바꾼 이후 현재에 이르고 있다. 미암면도 영산강 농업개발 4단계 사업으로 영암과 해남 사이에 방조제가 축조되어 영암호가 생기고 이로 인하여 넓은 해수면이 농토와 호수로 바뀌었다.
[미암면 관할 법정리]
두억리
미암리
선황리
남산리
춘동리
채지리
신한리
신포리
호포리
- 출처 영암군 홈페이지 최근인구현황(2024년 5월 1일 통계) ↩︎
- 더 자세한 이야기는 [디지털영암문화대전 “덕진 다리에 얽힌 덕진 여인의 애환‘]에서 찾아 보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