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명(지역) 유래 연구를 위한 참고 자료

Views: 0

지리(지역) 연구란 무엇인가?

지리학이란?

지리 연구는 지리학을 말합니다. 지리학은 지구상에 존재하는 지역과 공간을 계통적으로 분류하여 체계적으로 연구하는 학문입니다.1 지리학은 지형을 너머 역사와 문화를 포괄적으로 다루는 학문이라고 말할 수 있습니다.

블로그의 방향성

이 블로그는 지리학을 위한 사이트가 아닙니다. 도메인을 보시면 osulgil입니다. 이상한 도메인으로 보이지만 오솔길(osolgil)로 찾았지만 없어서 o를 u로 바꾸니 있어서 그렇게 된 것입니다. 지금 생각하니 우습네요. 다른 약자 형식으로 된 도메인을 만들어 사용했으면 좋았겠다는 생각이 듭니다. 어쩔 수 없죠. 사용한 지 벌써 몇 년이 지났으니 고칠 수도 없는 노릇이고. 하여튼 그렇게 되었습니다.

이 블로그는 크게 두 가지를 지향합니다. 나는 사람들이 살아가는 지역에 대한 이야기고, 다른 하나는 식물에 대한 것입니다. 두 이야기는 장소, 공간, 여행, 일상이란 키워드로 엮이는 것들입니다. 그래서 어떤 글은 철저히 식물로만 되어 있고, 어떤 글은 여행 또는 관광에 대한 것입니다. 전혀 어울리지 않는 두 키워드 같지만 ‘식물 탐구 여행’ ‘벚꽃 관광지’ ‘동백나무 군락지 여행’으로 글을 쓰면 완벽히 어울리게 됩니다. 그래서 가장 큰 범주는 ‘여행’이라고 보는 것이 맞습니다.

저는 지리학에 배운 적이 없습니다. 어릴 때 중학교 때 지리 배운데 전부 인 것 같습니다. 초등학교 저때는 ‘국민학교’였죠. 사회과부도 펴면서 통영의 나전칠기, 영광의 굴비, 고창의 수박 등등 하면서 시험치려고 외운 것이 전부입니다. 나중에 보니 실제 그 고장에 가면 통영에 나전칠기 하는 사람 없고, 고창에 수박 없는 이상한 경험을 하기는 했지만 말이죠.

지명 유래를 위한 참고 사이트

이 블로그, 즉 제가 말하는 지리학은 여행과 삶에 대한 지리를 말합니다. 이곳에 계속 연재하고 있는 ‘지명 유래’나 행정구역 등은 여행을 위한 준비 단계입니다. 그냥 맛집 가고, 유명 여행지 한 번 둘로버고 끝나는 여행이 아니라, 정말 그곳에서 살아가는 사람들의 삶 속에서 우러나오는 특산물과 식물, 맛집을 경험하고 싶은 것이죠. 그냥 가는 것과 그 지역을 배우고 가는 것은 많은 차이가 있는 것입니다.

제가 지리를 연구하고, 지역을 연구하는 중요한 사이트와 책들입니다. 일종의 참고 자료로 보시면 될 것 같습니다.

카카오지도

제가 가장 좋아하는 자료입니다.사용하기가 정말 편리합니다. 네이버 지도, 구글 지도로 있지만 다 불편하고 어색합니다. 한 때는 자료가 더 많아서 네이버 지도를 사용했는데 정말 불편해서 미치는줄 알았습니다. 지리 연구에 있어서 카카오 지도를 따라갈 인터넷 지도가 없습니다. 지형이나 높이? 등은 구글 얼스를 통해 3D로 보지만 정말 가끔 보고, 95% 이상은 카카오지도를 이용합니다. 국내 지리와 지형을 살피는데는 카카오지도만하게 없습니다.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제가 두 번째로 좋아하는 곳은 지도가 아닌 정보를 제공하는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입니다. 자료가 정말정말 많습니다. 때로는 너무 옅어?서 실망하기도 하지만 대부분 충분한 자료를 제공합니다. 종종 들어가서 지명이나 지역 정보를 얻는 데 사용합니다.

국토교통부/국토지리정보원

국도교통부에서 운영하는 ‘국토지리정보원’이 있습니다. 다양한 정보도 있지만, 이곳은 공신력이죠. 카카오지도에 비할 수는 없지만 일단 국가가 정하는 정확한 테이터와 지명을 제공하기 때문에 필요하면 가끔 들어가서 확인하는 편입니다.

지표누리

지표누리는 대한민국 지표를, 통계를 보여주는 공식적인 사이트입니다. 지역의 인구 통계나 지역적 상황들을 살피는데 도움이 됩니다.

위키백과

위키백과는 워낙 정보가 많으니… 나무위키도 사용하는데 워낙 구라도 많고, 신빙성이 낮아서 꺼림직합니다.

시청,도청,군청 홈페이지

그리고 정말 중요한 사이트 중의 하나는 행정구역의 홈페이지입니다. 이곳에 가면 거의 실시간으로 그 지역의 현황을 살펴 볼 수 있습니다. 인구 변동이나 축제, 그리고 지역의 정책이나 특징을 보여줍니다.

각 지역의 행정 홈페이지에 가면 의외로 많은 자료를 볼 수 있습니다. 가끔 지명유래나 어떤 지역의 역사를 간략하게 정리해 놓기도 합니다. 책에서도 볼 수 없는 다양한 내용이 축약된 형태로 만말 수 있습니다. 그럼 지역 연구의 키워드나 아이디어를 얻을 수 있습니다.

대동여지도

국토지리원에서 제공하는 고대 지도인 대동여지도의 목판목 서비스입니다.

규장각한국학연구원 – 고지도

규장각한국학연구원 사이트에는 다양한 지도를 제공하고 있습니다.광여도, 여지도, 해동지도, 1972년 지방지도 등 많은 고지도를 전자책 형태로 만나볼 수 있습니다. 고지도 연구나, 지명에 대한 정보를 알고 싶다면 참고하면 좋을 지도들입니다.

[참고 도서]

한국지명 유래집

이은식, 지명이 품은 한국사, 타오름

도수희, 한국의 지명, 아카넷

  1.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지리학↩︎

Leave a Com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