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s: 41
호랑이 지명

개요
호랑이는 영물로 취급 받았고, 지혜롭고 강력한 힘을 가진 동물이다. 호랑이가 유난히 많았던 우리나라는 호랑이와 관련된 속담도 많고 지명도 적지 않다. 공식적으로 밝혀진 호랑이 관련 지명은 389개로 전라남도가 가장 많다고 한다.
전라남도가 74개, 경상북도가 71개, 경상남도가 51개 순이다. 종류별로는마을 명칭이 284개(72.9%), 산의 이름 47개(12.1%), 고개 이름 28개 (7.2%), 바위 및 도서명 각 10개(2.6%) 등이다.1
구분 | 마을명 | 산명칭 | 고개명 | 바위명 | 도서명 | 기타 | 계 |
갯수 | 284 | 47 | 28 | 10 | 10 | 10 | 389 |
비율 | 72.9% | 12.1% | 7.2% | 2.6% | 2.6% | 2.6% | 100% |
다양한 이유가 있겠지만 실제로 호랑이가 가장 많이 살았던 곳은 전라남도 지역으로, 특히 해남과 진도에서 엄청난 수의 호랑이가 실제로 서식했다는 자료등이 존재한다. 이것은 호랑이의 먹이가 되는 하위 동물들이 전남 지역에 많이 있었기 때문이라고 한다. 진도에 진돗개가 많았던 이유는 호랑이와 싸우기 위한 방편이었을 것이라 추측하고 있다.2
호랑이와 고양이, 또는 살쾡이
기록물이 조선 시대가 거의 대부분이기 때문에 명확한 답을 주기는 모호한 부분이 있다. 하지만 대체로 남겨진 기록에 의하면 호랑이나 살쾡이, 또는 고양이는 한 부류로 취급하는 경향이 강했다. ‘쾡이’ 또는 ‘살쾡이’라 불렀다. 좁은 의미로 구분할 때는 호랑이른 따로 ‘범’ 또는 ‘호랑이’로 불렀다. 그렇기 때문에 호랑이 지명은 많으나 고양이 지명은 매의 희귀하다. 이러한 점을 이해하고 호랑이 관련 지명을 찾아가 보자.
호랑이 지명 용어
호랑이는 특이하게 ‘호랑이’를 직접 언급한 곳은 보이지 않는다. 단어가 길어서 그런지는 몰라도 사용된 곳이 없다. 일반적으로 한자로 변환하여 범을 사용하거나 호랑이가 엎드려 있는 모양이라 하여 엎드릴 복(伏)을 주로 사용하고 있다. 전남 고흥군의 ‘복호산’이 그 예이다.
호랑이 관련 용어
국토지리연구원의 자료에 의하면 호랑관련 용어는 다음과 같은 비율로 동일한 지명 또는 명칭이 사용되었다고 한다.
지명의 명칭 | 사용현황 | 비율 |
범바위 | 23곳 중복사용 | 5.9% |
호암 | 21곳 중복사용 | 5.4% |
호동 | 17곳 중복사용 | 4.4% |
범골 | 14곳 중복사용 | 3.6% |
호암산 | 6곳 중복사용 | 1.5% |
복호 | 5곳 중복사용 | 1.3% |
범성 등 3개 지명 | 4곳 중복사용 | 3.1% |
호명산 등 6개 지명 | 3곳 중복사용 | 4.6% |
용호동 등 19개 지명 | 2곳 중복사용 | 9.8% |
호장골 등 235개 지명 | 235곳 사용 | 60.4% |
계 | 389개 지역 | 100% |
호랑이 관련 지명
서울특별시
광주광역시
대구광역시
대전광역시
부산광역시
범내골
범천동
범일동
인천광역시
강원도
경기도
비호고개
- 경기도 양평
호랑이가 많아 이곳을 지나다 물려 죽은 사람들이 많이 있었다고 하여 붙여진 이름이다.
복거마을
- 경기 안성시 금광면 신양복길 81
경상북도
경상남도
호미곳(虎尾串)
- 경북 포항시 남구 호미곶면 대보리
원래 장기곳으로 불리던 곳이다. 한반도가 호랑이 모습을 하고 있고, 장기곳이 호랑이 꼬리에 해당한다하여 호미곳으로 고쳐 부르고 있다.
- 경남 거창군 가북면 호암길 108
마을 앞에 있는 호랑이를 닮은 범바위에서 유래한 마을 이름이다.
전라북도
호암마을
- 전북 고창군 고창읍 신월리
마을 뒷산이 호랑이를 닮아 붙여진 이름이다.
전라남도
견두산(犬頭山)
- 전남 구례군 산동면
호랑이에게 물려 죽은 사람이 많아 읍내에 호석(虎石)을 세우고 호두산(虎頭山)을 견두산(犬頭山)으로 바꾸어 불렀다고 한다.
1871년 군서면 송학리에 거주하던 인동장씨(仁同張氏) 장현철(張鉉喆)이 양지바르고 앞들이 넓어 마을에 거주하여 살다가 사위인 정기(正基)를 오게 해서 살게한 후 마을이 형성되었고, 여우 바위가 있다하여 호암(狐岩)이라 불리우다 호랑이 호(虎)자를 써서 호암(虎岩)이라고 고쳐 불리우고 있다.3
충청북도
충청남도
- 충남 아산시 탐정면
마을 뒷산이 호랑이를 닮이 호산리로 부른다.
제주도
범바위
- 경북 청도군 청도읍 월곡리
- 경북 칠곡군 약목면 남계리
- 경북 포항시 북구 청하면 소동리
- 경북 상주시 이안면 지산리
- 경북 영덕군 병곡면 영리
- 경북 안동시 녹전면 신평리
- 경북 예천군 감천면 유리
- 전북 진안군 동향면 자산리
- 전북 완주군 비봉면 소농리
- 전남 강진군 성전면 월하리
- 충북 진천군 북백면 사양리
- 국토지리정보원 보도자료, “우리나라 지명 속에 살아있는 호랑이 이야기”파일에서 참조함 ↩︎
- MBC뉴스,20220323, “[평양핫라인] “범 내려온다” 진도의 백두산 호랑이” ↩︎
- 영광군청 홈페이지 ↩︎